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설치
- 이클립스
- 정보처리기사
- 서버
- 스나이퍼팩토리
- java
- Flow
- 조건문
- kotlininaction
- jquery
- 코틀린
- 변수
- node
- Kotlin
- SwiftUI
- php
- node.js
- android
- Coroutine
- 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
- Eclipse
- express
- 스터디
- php개발
- php변수
- ios
- Flutter
- 플러터
- kotlin2.0
- sc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mygomii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5주차 본문
반응형
[5-1] 메일과 인터넷을 지원하는 서버
- 메일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서버에는 SVTP, POP3, IMAP, DNS. Proxy Web, SSL. FTP 등이 있음
- 메일과 인터넷 서버는 보안상의 이유로 사무소 내에서 볼 수 없음
[5-2] 메일을 보내는 서버
- SMTP는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, 이메일 서버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거나, 이메일 클라이언트(예: Outlook, Gmail 앱)에서 이메일 서버로 메시지를 보내는 데 사용됨
- 역할: SMTP는 이메일의 발송을 담당하며, 수신은 주로 POP3(Post Office Protocol 3)나 IMAP(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)을 통해 이루어짐
[5-3] 메일을 받는 서버
- POP3는 이메일 클라이언트(예: Outlook, Thunderbird, Apple Mail)가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다운로드하여 로컬 장치에 저장하고, 서버에서 해당 이메일을 삭제하는 방식의 프로토콜
- 역할: 사용자가 여러 기기(예: 데스크톱, 노트북, 스마트폰)에서 이메일을 관리할 때, 이메일을 하나의 기기에만 다운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음
[5-4] 웹 서비스 제공에 꼭 필요한 서버
- 웹 서버는 우리에게 친숙한 웹 사이트를 제공해 주는 인터넷을 대표하는 서버
- 구조나 동작 방식은 브라우저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지만, 도입을 검토할 때는 서비스 제공자 시점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음
[5-5] 도메인과 IP 주소의 연결
- DNS 는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분산형 네임 시스템
[5-6]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암호화
- SSL은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기술로, 현재는 더 안전한 TLS(Transport Layer Security)로 대체
- 웹사이트 보안(HTTPS)
- HTTPS: HTTP의 보안 버전으로, SSL/TLS를 사용하여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암호화
- SSL 인증서: 웹사이트 소유자는 인증 기관(CA)에서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웹 서버에 설치.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전한 연결을 제공
- 이메일 보안
- SMTP, IMAP, POP3: 이메일 전송 및 수신 프로토콜에서도 SSL/TLS를 사용하여 이메일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음
- STARTTLS: 기존의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에 SSL/TLS를 업그레이드하여 보안을 강화
- VPN(가상 사설망)
- SSL 기반 VPN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한 연결을 제공하며, 원격 근무 시 기업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함
- 파일 전송 보안
- FTPS: FTP에 SSL/TLS를 추가하여 파일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한 프로토콜
- SFTP: SSH 기반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, SSL 대신 SSH를 사용하지만 유사한 보안 기능을 제공
[5-7] 인터넷을 통한 파일 전송 및 공유
- FTP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 통신 프로토콜
- FTP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,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음
[5-8] 외부에서 메일을 보고 싶을 때 이용하는 서버
- IMAP은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이메일 서버와 통신하여 이메일을 읽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
특징IMAPPOP3
저장위치 | 서버 중심 저장 | 클라이언트(로컬) 중심 저장 |
동기화 | 여러 기기 간 실시간 동기화 | 기본적으로 단일 기기 중심 (설정에 따라 다름) |
폴더 관리 | 서버에서 폴더 생성 및 관리 가능 | 기본적으로 받은 편지함 외 폴더 관리 제한 |
접근 방식 | 온라인 접근 (인터넷 연결 필요) | 오프라인 접근 가능 (다운로드 후) |
이메일 검색 | 서버 측 검색 가능 | 클라이언트 측 검색 (모든 이메일 다운로드 필요) |
보안 | SSL/TLS로 암호화 가능 | SSL/TLS로 암호화 가능 |
사용 사례 | 여러 기기에서 이메일을 관리하고 동기화할 때 | 주로 단일 기기에서 이메일을 관리할 때 |
[5-9] 인터넷 통신의 대행
- 프록시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서버 또는 소프트웨어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대신 서버에 전달하고,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중간 매개체
반응형
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7주차 (0) | 2024.12.27 |
---|---|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6주차 (0) | 2024.12.27 |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4주차 (0) | 2024.12.07 |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3주차 (1) | 2024.11.25 |
[그림으로 배우는 서버구조] - 2주차 (1) | 2024.11.25 |